*얼마전 물리학과 지망생이 댓글로 문의해서 이메일로 답변을 해준 적이 있다. 적당히 편집해서 올린다. 나에게 문의한 그 학생이 "나만 알아야 하는데!"하면서 아쉬워할 수도 있겠지만, 이런 조언을 들었다고 해서 다 합격할 수 있다면, 내 적성은 과학자가 아니라 입시 브로커겠지...


물리학을 전공한다고 하니, 일단 걱정이 앞서는건 물리를 좋아하는 것과 물리를 잘하는 것이 많이 다르다는 거예요. 물론 좋아하는만큼 잘할 수 있지만, 아주 많은 후배들이, 본인은 고등학교 때 물리를 잘하고 좋아한다고 생각하고서 물리학과에 진학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수업을 듣고 잘 하는 사람은 한 학년에 한명? 정도라는 것이죠. 물론 이건 제가 교수님께 전해들은 것들이라 그냥 그런가보다 하는 거죠. 사실이 아닐 수도 있어요.
어차피 인성 관련 면접은 다른데서도 많이 알려줄 것이고, 잘 할거라 생각해요. 전공 면접만 몇가지 알려줄게요.
대체로 물리학과 교수님들은 Brilliant한 학생을 좋아해요. 우리말로 하면 "똘똘하다" 정도 되겠네요. 이건 genius나 smart와는 조금 달라요. 단지 계산이 빠르고, 암기가 좋고, 그런것도 아니고, 대학 물리학 과정을 선행하는 것도 아니예요. 다시 말해서, 물리적 감각이 있는? 정도로 생각해야겠네요.
예를 들어서, 이런 질문에 대해서 그냥 별 생각없이 대답한 것이 거의 정답인 것들이죠.
빈 공간에 망치가 하나 떠 있어요. 이 망치의 어디를 밀면 망치가 회전하지 않고 평행이동할까요?
빈 공간에 도체 구가 하나 있어요. 여기에 +전하를 가까이 가져가면 이 도체 구는 힘을 받을까요 안받을까요? 받으면 어느쪽일까요?
면접에서 전공 관련된 질문들은 절대로 어렵지 않아요. 단, 한번도 접해보지 못했을 수 있기 때문에 그냥 보면 당황하고, 결국 말을 못하고 우물쭈물하다가 끝나겠죠. 하지만 결코 쫄 필요 없어요. 물리적으로 상황을 따져가는 방법을 알면 어떤 질문에도 자신의 생각을 어느정도는 이야기하고 나올 수 있어요.
추천도서로는 "생각하는 물리(=재미있는 물리여행), 폴 휴이트, 루이스 앱스타인"와 "물리가 나를 미치게 해", "현대물리가 나를 미치게 해" 같은 책을 추천할게요. 본인이 진짜 천재라면 "하늘을 나는 물리의 서커스"라는 책도 있지만, 진짜 천재가 아니라면 함부로 읽지 않는게 좋아요. (들춰보는건 적극 추천.) 교수님들 앞에서 조금 더 아는척을 하고 싶다면 "신화, 마술, 미스테리 속에 물리가 있다"라는 책이나 "알기 쉬운 생활속의 물리"같은 책도 들춰봐요. 물리학과 교양 물리 책이긴 한데, 초끈이론 다룬 책들보다는 더 많이 도움이 될거예요.
앞에 세 권은 아직 고3이 아니라면 반드시 읽기를 추천할게요. 이번에 수능을 보고 바로 면접을 봐야 한다면, 생각하는 물리나 물리가 나를 미치게 해 중에 한권 정도는 읽고 생각해 보는게 좋을거예요.
교수님들에게 줘야 하는 인상은 "물리를 잘한다"보다는 "물리에 소질이 있다"는 거예요. 열정도 있어야 하고, 실력도 있어야 하지만, 동시에 중요하면서 간과하기 쉬운건 소질(재능)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죠. 단순히 공식을 많이 알고, 엘러건트 유니버스나 초공간 같은 책을 읽고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그런거 말고, 이녀석은 정말 한번 키워보고 싶다. 어디까지 갈지 가르쳐 보고 싶다. 교수님들이 심장을 두근거리게 만드는 그런 학생이 되어야 해요. 슈퍼스타K같은거 보면 그렇잖아요. 실력과 발전가능성 모두를 보는 거죠. 특히 발전가능성이예요.
어차피 고등학교때 물리를 잘해봐야, 송유근 정도의 실력이 아닌 이상 교수님이 보기엔 전부 다 꼬꼬마 아가들밖에 안되거든요.
앞에 추천한 책들은 다 문제집인데, 읽고 정답 확인하는 수준으로 끝나면 안되고, 답이 어떻게 될 것인지 최대한 생각해보는게 좋아요. 그걸 생각하는 과정이 물리 연구거든요.
물리에서 가장 중요한 질문은, "그럼 어떻게 되는데?"예요. 앞에 나온 망치나 도체구 문제도 있고, 예를 들어 자기장 속에 전선이 있어요.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어떻게 될까요? 전선은 어디로 갈까요? 왜 그렇게 될까요? 교수님들은 이런 문제를 주고서 말끔히 대답할때까지 끝까지 압박할거예요.
그래서 고등학교 물리 교과서에 나온 내용은 완전히 숙지해두세요. 사실을 정확히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해요. 대충 배우고 대학 과정을 뒤적인 것보다, 고등학교 과정이어도 완전히 이해하는 것이 훨씬! 중요해요. 고등학교 과정을 완전히 이해한 다음에 대학 과정을 보는거라면 모를까, 고등학교 과정을 이해 못한 상태에서 대학 물리를 보는건 그냥 ... 솔직히 말해 미친짓이죠.

이게 왜 미친짓이냐면, 면접때 헛소리를 할 수 있거든요.

면접관으로 들어온 교수님은 고등학교때부터 물리 잘한다는 소리를 들었던 분들이며, 대학을 나와서 대학원 유학도 다녀오셨고, 다년간 학생들을 가르친 분들이예요. 그것도, 다른 물리학자들과 피와 침을 튀기는 논쟁을 벌이면서 자신의 논리와 이론을 정립한 분들이죠. 즉, 적어도, 누군가 물리와 관련된 얘기를 하는데 헛소리를 하고 있으면 콕 찝어서 너 닥치라고 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거예요. 특히 가장 위험한건 양자역학 부분인데, 고등학생들이 양자역학에 대해서 교양 물리책을 보고 대충 이해한 다음에 면접에 들어와서 헛소리하고 있으면 교수님들은 얘를 어떻게 요리할까 고민하고 계시죠. 귀찮으니 대충 갈궈서 내보낼까, 노력은 가상하니 점수를 더 줄까, 헛소리했으니 깎을까. 물론 대학 수준의 이야기를 하더라도 정확히 이해하고 정확히 설명한다면 아주 좋아요.

무슨 얘긴지 알겠죠? 수준은 고등학교 수준이든 대학교 수준이든 상관 없어요. 다만, 자신이 말하고 있는 용어와 이론에 대해서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해야 돼요. 정확히 말할수만 있다면야 대학 수준을 이야기하는게 도움이 되죠. 하지만 그게 안되면, 고등학교 수준에서라도 정확히 제대로 이해하는게 더 중요해요.


그리고 물리학자를 꿈꾸는 물리학과 지망생은 내가 보기엔, 그리 많지 않다.(그러나 물리학과 경쟁률이 낮다는 뜻은 아님.)

by snowall 2012. 11. 27. 2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