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넓이를 나타내는 표준 단위가 평 -> 제곱미터로 바뀐지 꽤 되었다.
(그 외에 도량형 단위계가 SI단위를 쓰기로 했었다.)
근데, 아직도 부동산 거래시 넓이 단위가 3.3제곱미터당 단가로 나온다. 이래서야 평당 단가로 쓸때랑 아무 차이가 없다.
이번에 정책공감 블로그 http://blog.naver.com/hellopolicy/150078352853 가보니까 여기서도 3.3제곱미터당 단가로 얘기하고 있다. 3.3제곱미터당 단가를 같이 써주더라도, 1제곱미터당 단가를 우선 사용하는게 앞으로의 미래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이럴거면 뭐하러 SI단위계로 바꿨는지 모르겠다. 물론 과학계/기술계통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SI단위를 쓴지 오래됐지만, 일상 생활에 접목시키려면 아직도 한참 남은 것 같다.
지난번에 국립과천과학관 견학을 갔을 때도, 여전히 인치를 단위로 쓰고 있는 모습을 보았다. 국립 과학관이면 국가 정책에 맞게 표준 단위계를 기준으로 쓰고 그 외의 보조 단위를 같이 쓰는 센스를 발휘하면 안될까?
추가 : LCD화면의 크기도 원래 인치로 표시되다가 cm으로 바뀌어야 하는데, 기존의 인치 단위에서 숫자는 그대로 가져다 쓰면서 단위가 "형"으로 바뀌었다. 3인치 -> 3,0 형. 원래는 그게 아니라 3.0인치의 형식이라는 뜻이겠지만, 이건 그냥 "형"이 단위로 가버린 것이다. 정말 아무 의미가 없다. 7.65cm라고 해줬으면 좋겠다.
(그 외에 도량형 단위계가 SI단위를 쓰기로 했었다.)
근데, 아직도 부동산 거래시 넓이 단위가 3.3제곱미터당 단가로 나온다. 이래서야 평당 단가로 쓸때랑 아무 차이가 없다.
이번에 정책공감 블로그 http://blog.naver.com/hellopolicy/150078352853 가보니까 여기서도 3.3제곱미터당 단가로 얘기하고 있다. 3.3제곱미터당 단가를 같이 써주더라도, 1제곱미터당 단가를 우선 사용하는게 앞으로의 미래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이럴거면 뭐하러 SI단위계로 바꿨는지 모르겠다. 물론 과학계/기술계통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SI단위를 쓴지 오래됐지만, 일상 생활에 접목시키려면 아직도 한참 남은 것 같다.
지난번에 국립과천과학관 견학을 갔을 때도, 여전히 인치를 단위로 쓰고 있는 모습을 보았다. 국립 과학관이면 국가 정책에 맞게 표준 단위계를 기준으로 쓰고 그 외의 보조 단위를 같이 쓰는 센스를 발휘하면 안될까?
추가 : LCD화면의 크기도 원래 인치로 표시되다가 cm으로 바뀌어야 하는데, 기존의 인치 단위에서 숫자는 그대로 가져다 쓰면서 단위가 "형"으로 바뀌었다. 3인치 -> 3,0 형. 원래는 그게 아니라 3.0인치의 형식이라는 뜻이겠지만, 이건 그냥 "형"이 단위로 가버린 것이다. 정말 아무 의미가 없다. 7.65cm라고 해줬으면 좋겠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