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내용은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중에 공감적 경청이랑 비슷한 부분이 있지만, 이러한 아이디어 자체는 꽤 오래전부터 생각해온 것들이다.

요즘들어 정신적으로 살짝 우울해지면서 다른 사람들의 말이 공격적으로 들리고 내가 남들에게 하는 말들이 공격적으로 변한다는 생각이 들고 있다. 순수한 나의 착각인거겠지만.

아무튼 이 생각을 발전시켜서 일반화된 가설을 제시해 보자.
"모든 질문은 공격이고 그에 대한 응답은 방어이다"


의외로 많은 곳에서 공격적인 질문이 나오고 거기에 방어적인 대답이 나오는 경우를 발견할 수 있다. 가령, "밥 먹었냐?"라는 아주 일반적인 질문은 질문 당시의 상황과 말투와 감정 상태에 따라서 "넌 아직도 밥도 안먹고 뭐하고 찌질대고 다니냐?"라는 공격적인 질문으로 왜곡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아주 많이 비꼬는 것이고 그렇게까지 왜곡해서 듣는 사람은 없다. 아무튼, 어떤 대화의 화두를 꺼낼 때, 말을 꺼낸 사람은 잘 모르지만 듣는 입장에서 상당히 기분 나쁘게 들리는 말들이 있는 법이다. 이러한 상황은 양쪽 모두가 서로의 상황을 이해하면서 듣지 않는 한 그 수준이 가볍든 무겁든 항상 일어날 수 있다. 아무리 의도 없이 던진 대화에서 사소한 말꼬투리를 잡기 시작하면 그것은 이미 공격적 대화가 되고 그것으로 말싸움이 일어나서 번질 수도 있는 것이다.

실제로, 몇년 전 나는 별로 중요해 보이지 않는 대화들 속에서 두 친구가 절교하는 장면을 눈앞에서 라이브로 지켜본 적이 있다.

두 친구를 1과 2라고 칭하자. 둘 다 여자였다.

상황설명 : 나랑 1과 2가 신촌에서 만나기로 했는데, 나랑 1은 약속시간 10분쯤 전에 도착해서 만났고, 2는 아직 오지 않은 상황이었다. 2가 별다른 연락 없이 1시간 30분 정도를 늦게 도착했다.

1 : 많이 늦었네?
2 : 응, 미안
1 : 연락좀 해주지
2 : 미안해
1 : 다음부터는 늦으면 늦는다고 연락을 해줘
2 : 조금은 늦을 수도 있잖아
1 : 이건 조금이 아니잖아
2 : 그래도 이정도는 이해해줄 수 있잖아
1 : 연락이라도 해줬어야지
2 : 난 조금 늦는게 내 캐릭터라고 생각했는데
1 : 항상 늦었잖아. 여러번
2 : 많이 늦지도 않잖아
1 : 항상 그런식으로 약속 안지키는게 좋은거야?
2 : 그렇게 많이 늦은것도 아니잖아
1 : 그렇게 자꾸 약속 어기는건 좋지 않은거야
2 : 지금 내가 고쳐야 한다는 얘기야?
1 : 나쁜건 고쳐야지
2 : 못고치겠는데
1 : 그래? 그럼 나 너랑 친구 못해
2 : 그래? 그럼 나도 안해
대본은 기억나는대로 옮긴 것이고, 정확히 저렇게 얘기를 하지는 않았겠지만, 대충 저런 맥락이었던 것 같다. 옆에서 보고 있던 내가 끼어들만한 상황은 아니었던 것이, 난 1이랑 친해진 다음에 2를 알게 된 상황이었고 2하고는 안면은 있고 친하게 지내긴 해도 가깝게 지내는 사이는 아니었던 것이다. 그리고 두사람은 이미 불이 붙어서 활활 타오르는 상황이었다. 그때 내가 중재를 해줬다면 두 사람이 저렇게 절교하지는 않았을 수도 있었겠지만 당시의 나는 아무런 생각이 없었다. 뭐, 1과 2과 지금 다시 연락을 하고 만나는지 어떤지는 잘 모르겠다. 지금은 내가 1하고는 가끔 연락하고 2하고는 연락이 끊겼는지라, 1에게 직접적으로 물어보기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아무튼간에, 위와 같이 그냥 웃고 사과하면서 넘어갈 수도 있었던 대화들이지만 상황에 따라서 어감에 따라서 점점 대화가 까칠해지고 공격적으로 변해가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어느 한쪽이 상대방을 먼저 이해했더라면 저렇게 파국으로 치닫지는 않았겠지만 당시에는 어느 한쪽도 이해를 선택하지 않았다. 양쪽 모두가 공격을 선택하는 바람에 둘 다 상처입고 절교를 선언한 것이다. 나는 여기서 1과 2중에 어느 한쪽을 비난할 생각도, 양쪽 모두를 나쁘다고 말할 생각은 없다. 단지 이렇게 된 상황이 아쉽고 안타까워서 글을 적어두는 것이다.

공격적인 대화로 변질되어 갈 때에, 상대방하고의 관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1. 말하다가 느낌이 이상한 걸 파악해야 한다. 상황이 어떤 상황인지 객관적으로 보자. 이때 객관적이라는 것은, 적어도 자신의 마음 상태를 아는 것이다. 자신이 화가 나 있는건지, 감정적으로 들떠 있는 건지, 지금 이 말을 왜 했는지를 생각해야 한다. 만약 방금 내뱉은 말을 두고 "내가 이 말을 왜 했지?"라는 후회가 든다면 이 상황은 공격적 대화를 하는 상황이다. 이게 잘 안된다면, 상대방이랑 대화를 시작하는 바로 그 순간부터 생각하면 된다.

2. 공격적 대화를 하는 상황이라는 것을 파악했다면, 우선 심리적 방어선을 두른다. 다시 말해서, 상대방이 어떤 얘기를 하더라도 그 발언을 그냥 단어의 연속으로 받아들이고 상대방의 감정은 받아들이지 않는다. 이것은 상대의 얘기에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위한 준비 작업이다.

3. 상대방이 빨리 대답하기를 재촉하더라도 생각한다. 느긋하게 생각할 여유는 없겠지만 아무리 급하게 대답하는 상황이라도 최소한 30초에서 1분 사이의 여유는 있다. 그게 안된다면 상대방이 계속 얘기하게 놔두고 상대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좋다.

4.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파악해야 한다. 일단 상대방이 내게 얘기하는 것이 나의 "대답"을 기대하는지부터 파악해야 한다. 그냥 들어주기를 바라는지, 나의 대답을 원하는지. 그냥 들어주기를 바란다면 추임새 "아, 그래" 정도를 넣어주면서 진지한 태도로 들어준다. 만약 나의 대답을 원한다면 그것이 충고/조언인지, 응원/격려인지, 동정인지를 상대의 상황을 짐작하면서 대답해야 한다. 이것을 파악하지 못하겠다면, 일단 파악 될때까지 계속 듣는다.

5. 내가 말하고 싶어지는 바로 그 순간이 있을 것이다. 이때 말하고 싶은 것을 그대로 입 밖으로 내뱉어 버리면 대부분 후회한다. 말하고 싶은 것을 머릿속에서 말해봐라. 그리고 머릿속에서 후회한 다음에, 머릿속에서 더 좋은 말을 생각해서 그것을 말해야 한다.

1번부터 5번까지 얘기를 했는데, 이것은 한번에 모두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단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즉, 4번이나 5번을 못하더라도 3번까지만 잘 하고 있다면 안전한 대화를 할 수 있다. 아무리 심각한 상황이라도 최소한 1번은 가능해야 한다.

촌철살인이라고, 내가 무심코 던진 단 한마디 말이 상대방의 마음속에 비수가 되어 꽂히는 수가 있다. 그 순간 대화는 교류가 아니라 전쟁이 된다. 상대방은 상처받은 것을 숨기기 위해서, 또는 치료받기 위해서, 또는 더 큰 상처를 받지 않기 위해서라도 내 마음에 비수를 박아야 한다. 그것을 막으려면 상대방이 내던지는 비수를 받아서 내 마음의 핵심이 아닌 다른곳에 꽂히게 하고, 내가 상대방에게 던지는 비수는 칼날을 잡고 손잡이를 내미는 것이 필요하다.
by snowall 2007. 10. 31. 1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