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동 트랙백

"일다"라는 곳에서 "장난감 총도 약자를 겨눈다"라는 기사를 봤다. 기사 원문은 위의 링크를 눌러보기 바란다. 사실, 초등학교 6학년 시절에 친구가 쏜 BB탄 총알에 왼쪽 눈을 맞아서 실명할 뻔한 적이 있었다. 약 20미터 정도 되는 거리에서 맞았는데, 반사적으로 눈을 감았기 때문에 눈꺼풀 위로 맞았던 것이다. 그 충격에 이틀정도 눈이 흐릿하게 보여서 안과 병원에 갔더니 방법이 없고, 국립 의료원에 가서 진찰을 받아봐야 안다고 하는 것이다.

국립 의료원에 갔더니, 진찰 결과가 난감하다. 안구 안쪽에서 혈관이 터져서 출혈이 일어났는데, 만약 이 혈액이 자연스럽게 빠져나가면 상황은 종료되지만 그 안에서 굳어버리면 그대로 실명하게 된다는 것이다. 치료방법도 별거 없이 자연스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절대 안정 유지"였다. 1주일간 입원하게 되었는데, 정말 절대 안정 유지였다. 멀쩡한 한쪽 눈으로 책이라도 읽을 수 있었다면 좋았겠지만 양쪽 눈을 모두 감고 있어야만 했다. 사람의 눈은 카멜레온과는 달리 양쪽 눈이 동기화되어서 동시에 움직이기 때문에, 한쪽 눈동자를 돌리게 되면 반대쪽도 돌리게 되어 치료에 부정적인 결과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1주일간 잠을 자건 말건 눈을 감고 있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시각 장애인들이 얼마나 불편하게 지내는지, 그걸 정말 체험했다고는 말할 수 없겠지만, 아주 약간 체험했다고는 생각한다.
다행히도, 안정을 이루긴 했었는지, 1주일 뒤 시력은 정상으로 되돌아왔다.

사실 위험했던건 총알을 맞은 그 다음날이었던 것 같다. 그날은 운동회 날이어서 하루종일 뛰어다니는, "완전 절대 불안정" 상태에 놓여있었기 때문이다. 젠장.

아무튼, 친구는 장난이었겠지만 난 왼쪽 눈을 잃어버릴 뻔 했다. 그 전에도 별로 그런일은 안했지만, 난 장난으로라도 누굴 때리거나 돌을 던지거나 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살고 있다. 무심코 던진 돌에 개구리는 맞아 죽는 법이다.

by snowall 2006. 9. 12. 10:26
김성일(金成一)의 《학봉집(鶴峯集)》에 보면 "배우는 사람이 근심할 것은 오직 입지가 성실하지 않는가에 있고 재주가 혹 부족한 것은 근심할 것이 아니다.(學者所患 惟有立志不誠. 才或不足 非所患也.)" 라는 문장이 있다.

내 일생의 좌우명으로 삼을까 한다. 뜻을 세우지 못하는 날, 아마 난 학문을 그만둘지도 모른다.

by snowall 2006. 9. 3. 17:58
원래 살던 고향집에 와서 키보드를 쓰고 있다. 참고로 내가 연구실에서 쓰는 키보드는 해피해킹 키보드 라이트2이고 지금 두들기는 키보드는 아론의 106S 블랙 우레탄 버전이다. 이쪽이 확실히 짤깍대는 맛도 있고 두들길 때 힘이 덜 들어가서 좋긴 한데, 문제는 ESC키의 위치랑 백스페이스 키의 위치이다. ESC야 어차피 잘 안 누르니까 상관 없는데, 백스페이스는 오타가 날 때마다 엔터를 쳐 버려서 여전히 오타가 나고 있는 상황이다 -_-;;
나 원...

양쪽의 장점을 같이 갖고 있는 키보드는 정녕 나오지 않는다는 것인가?
아니면, 내가 손가락 힘을 키워서 키보드를 두들겨 패야 한다는 것인가...

by snowall 2006. 9. 2. 01:19

난 저런 종류의 글을 쓴 적이 없단 말이다!
...해서, 대체 저걸로 검색하면 뭐가 나오나 싶어 따라가 봤다.
-_-; 다음에서 자동으로 필터링 된 모양이다. 저런걸 찾으려면 다른데서 알아보지 왜 다음에서...
그건 그렇고, 내 글이 클릭해서 읽어볼만큼 자극적인 내용이었나?
별거 없는데...;

by snowall 2006. 9. 1. 22:24
자랑이다 -_-;

대학원 물리학 전공 2번째 학기에는 무엇을 듣게 돼나요?

뭐, 아무도 이런 질문은 하지 않지만, 자문자답이다.

양자역학1, 전자기학2, 핵물리학을 듣습니다. (제 경우)
양자역학은, 사실 난 지난 학기에 양자역학2를 이미 들어버렸다. 그래도 되냐구? 물론 상관없다. 수업은 있을때 들어주지 않으면 졸업을 못하는 불상사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대학원 양자역학과 학부 양자역학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사실 크게 달라지는건 없다. 대학원 온다고 해서 물리학이 바뀌는 것도 아닐뿐더러, 학부때 제대로 배웠다면 대학원이라고 해서 더 배울게 생기지는 않는 법이다. 하지만 대학원까지 진학한 사람이 학부때 배운 양자역학을 제대로 기억하고 있을리 없다. (내 경우 그렇다는 거다.) 따라서 기억을 되살리기 위해서라도 대학원에서 양자역학을 듣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다. 물론 졸업을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 교재는 J. J. Sakurai의 Modern Quantum Mechanics를 사용한다. 이분은 책을 완성하기 전에 돌아가셨기 때문에 현재의 판본은 다른 동료 교수가 그의 강의 노트를 참고하여 완성한 Rivised Edition이다.

전자기학은 좀 어려워졌다. 지난학기에 전자기학1을 들었는데, 확실히 델타 함수가 많이 나오긴 하더라. 우리 과의 J교수님의 말씀을 인용하자면, "대학원 전자기학이라고 별거 없슈, 델타펑션이 좀 많이 나오긴 해도 학부랑 똑같아유" 라고. 물론 전자기학도 마찬가지로 대학원에 온다고...(생략). 교재는 Jackson의 Classical Electrodynamics를 본다. 음...이 책에 대해서는 할말이 없다. 아무튼 어렵다.

핵물리학은...어떻게 될지 모르겠다. 교수님이 발표 수업을 시킨다고 하시긴 하는데...음음...아무튼. 학부때 핵물리학은 2학기꺼만 들어서, 사실 전혀 모른다. 그냥 양자역학이 적용되는 세상이라는 것만 알고 있을 뿐이다.

여기에, 덧붙여서 봉천동S대에서 강의하는 양자장론 수업을 청강하고 있다.
양자장론은 말 그대로 "장 이론"을 양자화시킨 이론이다. 물론 양자역학을 장 이론으로 만들었다고 해도 별다른 문제는 없다. 난이도는 내가 들어본 수업중에서 최고 수준이다. 뭔얘기를 하는지 전혀 모르겠다. 그래도 듣는 이유는, 그래야 책이라도 한번 더 펴보고 물리 공부를 하지 않겠는가.
by snowall 2006. 9. 1. 20:22